디에이징뉴스

‘전력난’으로 궁지에 내몰린 中, 대책은?

송여란 기자 | 기사입력 2021/10/14 [15:15]

‘전력난’으로 궁지에 내몰린 中, 대책은?

송여란 기자 | 입력 : 2021/10/14 [15:15]

[데일리차이나=송여란 기자]

 

▲ 상하이 화력발전소 <사진=百度 제공>  © 데일리차이나


중국이 전례 없는 ‘전력난’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하지만 중국 당국은 적절한 대응책을 내지 못한 채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코로나19 타격 이후로 세계 경제가 차츰 호전되면서 석탄의 수요가 급증했고, 덩달아 석탄의 가격도 하늘로 치솟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작년 말부터 중국이 본국의 최대 석탄 수입국 중 하나였던 호주를 상대로 ‘무역보복’을 가한 탓에 당분간 중국의 안정적인 석탄 보급망 구축은 더욱 어려움에 처하게 되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시진핑 주석의 ‘저탄소 경제’ 정책과 맞물리면서 중국의 전력 보급이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아직까지 불분명하다.

 

중국의 ‘전력난’ 문제는 자국 경제는 물론 현지에 진출한 외국 기업, 더 나아가 세계 경제에도 치명적인 손실을 안겨줄 것이라는 게 경제학자들의 예측이다. ‘세계의 공장’ 역할을 해내던 중국의 제조업 생산 과정에 브레이크가 걸리면서 전 세계의 생산망도 함께 휘청이고 있다

 

물론 ‘전력난’의 구렁텅이에서 벗어나기 위한 중국 정부의 움직임도 일부 보이고 있다. 지난해부터 내륙으로 들어오지 못하고 중국 해협 부근에서 대기 중이던 호주산 석탄 일부에 대한 수입을 재개하기로 결정했다. 이외에도 러시아, 몽골, 인도네시아 등의 석탄 수입 경로를 확보하는 데 애를 쓰고 있다. 또한 중국 당국은 북한 개인 무역업자를 상대로 하는 부분적인 석탄 거래를 허용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리커창 총리를 주임으로 ‘국가에너지위원회’를 개최해 전력 제한공급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정하기도 했다.

 

하지만 과연 이러한 노력들이 ‘전력난’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해 줄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의구심이 생길 수 밖에 없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중국 정부가 호주산 석탄의 일부를 재수입하는 것으로 입장을 굽히고 들어갔지만, 반중, 친미 노선을 타고 있는 호주와의 근본적인 평화 협상이 없다면 이는 임시방편에 불과할 것이다. 또한 호주산 석탄의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다른 국가로부터 공급망을 확보하려는 전략은 긍정적으로 평가되나, 이마저도 석탄의 가격이 폭등해 어려운 실정이다. 실제로 중국의 공격적인 ‘보복무역’으로 호주는 34억 달러를 웃도는 손실을 입었다. 하지만 중국이 호주를 향해 겨눈 칼은 다시 그들을 향해 돌아왔다. 이러한 사례로 봤을 때 중국 정부는 호전적인 외교정책을 재고해봐야 할 것이다.

 

또한 중국 정부는 이벤트성의 ‘저탄소 경제’ 정책보다는 ‘진정한 탄소 중립’을 위해 장기전으로 돌입해야 한다. 연간 할당된 탄소배출 절감량을 달성하기 위해 강행한 무차별적인 전력 제한 공급은 지양하는 것이 올바른 판단이라고 볼 수 있다. 자체 전력공급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 역시 중국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이다.

 
韩语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