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에이징뉴스

[중국 고사성어]설중방우(雪中訪友)

서정욱 | 기사입력 2017/12/04 [17:35]

[중국 고사성어]설중방우(雪中訪友)

서정욱 | 입력 : 2017/12/04 [17:35]

‘설중방우(雪中訪友)’, '눈 속에 벗을 찾아간다'

 

 

이 고사성어는 중국 위진남북조시대 두 예술가의 이야기에서 비롯된다.

 

한 사람은 왕휘지(王徽之)로 서예가 왕희지의 다섯 째 아들인데 그 역시 저명한 서예가다.

 

또 다른 사람은 그의 벗 대규(戴逵)로 금을 잘 연주하고 그림에도 뛰어난 문인화가다.

 

왕휘지가 산음(저장성 사오싱)에 머물 때였다.

 

밤에 큰 눈이 내렸는데 잠에서 깨어나 사방을 보니 세상이 하얗게 변해 있었다.

 

마음이 심란해진 그는 술을 내 오라 하여 큰 잔에 가득 따라 붓고 '좌사(左思)'의 '초은시(招隱詩)'를 읊었는데 문득 섬계(剡溪)에 사는 벗 대규가 보고 싶어졌다. 

 

그는 다짜고짜 작은 배를 띄워 밤새 섬계로 배를 저어 갔는데 아침에야 배가 대규의 집 앞에 이르렀다.


'有朋 自遠方來 不亦樂乎', '벗이 있어 먼 곳에서 오니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하지만 대규는 그를 만나는 즐거움을 누리지 못했다.

 

왕휘지가 문을 두드려 주인을 부르지 않고 그저 발길을 되돌려 버린 것.

 

사람들이 까닭을 묻자 그는 다음과 같이 답한다.


"吾本乘興而來, 興盡而返 何必見戴"
(오본승흥이래 흥진이반 하필견대)

"내가 원래 흥을 타고 왔다가 흥이 다해 돌아가노라. 어찌 반드시 대규를 보아야 하겠는가?"


결국 그가 추구한 것은 내면의 진심과 자유, 그리고 편안함이었다.


눈 내리는 날이면 옛 문사들은 이 고사의 흥취를 떠올리면서 시문을 짓고 그림도 많이 그렸다.

 

이중에 삼봉 정도전의 '설중방우(雪中訪友)'로 마무리 글을 대신한다.


雪中騎馬訪韓生(설중기마방한생)
눈 속에 말을 타고 한생을 찾아가니

直到門前尙未晴(직도문전상미청)
문앞에 당도해도 눈은 아직 개질 않네

返路也乘餘興去(반로야승여흥거)
돌아가는 길에도 남은 흥을 타고 가리니

風流何似剡溪行(풍류하필섬계행)
풍류에 굳이 섬계의 옛일을 들먹이겠는가


글·서정욱 변호사(전 영남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传报 많이 본 기사